IT제품 정보보기

인덕션의 작동 원리

정보만물상인 2023. 6. 22. 21:53
반응형

건물이 많아지고 있는 요즘 새로 건설되는 건물들은 대부분 가스레인지 형식이 아니라 전기를 이용한 인덕션을 많이들 사용하고 있는데요. 오늘은 이 인덕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.

인덕션의 시작

인덕션은 2010년 이후로 새로 건설된 오피스텔 등으로 빠르게 보급되 왔습니다. 2020년쯤에는 약 100만 대를 넘겼다고 하죠. 인덕션이 널리 퍼지게 된 이유는 별도의 가스 설비가 필요 없으며 가스레이지보다 가격이 저렴한 부분으로 많이 사용하게 되었죠.

인덕션의 원리

인덕션의 원리는 전자기유도 입니다. 이는 구리 등으로 만든 도선(코일) 주변에 자석 등으로 자기장을 변화기 킬 시 전압을 발생시켜 전류를 만들어내는 형상입니다.

인덕션의 내부는 원령으로 둘러싼 코일로 되어있으며 코일에서 교류전류가 흘리면 수시로 방향이 변하는 교류자기장이 만들어집니다.

이 자기장 위에 전기가 잘 흐르는 도체 즉 프라이팬과 같은 도구를 두어 도구를 달궈서 조리를 할 수 있게 만듭니다.

인던션의 뜻(Iinduction)

인덕션이라는 이름의 뜻은 영어 단어 인덕션으로 [유도(誘導), 감응(感應) 등을 의미한다. 유도 가열 역시 영미권에서 ‘IH(Induction Heating)’으로 표시된다.]

주의사항

인덕션을 사용할 때에는 전용냄비나 그릇 등을 마련해야 합니다. 전자기유도의 특성상 냄비나 그릇의 성분이 전기에너지를 열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적절한 저항을 보유해야 하기 때문입니다.

인덕션에서 흔히 활용할 수 있는 스테인리스, 철 주물 프라이팬이나 냄비 등은 와전류를 충분히 전도할 수 있을 만큼 전기전도율을 보유하고 있고 저항도 꽤 높습니다.

반면, 인덕션에서 대부분 활용하기 어려운 순도 높은 알루미늄이나 구리 제품은 저항이 지나치게 낮습니다. 저항이 낮은 만큼 열을 발생시키기 어렵기에 특수한 처리를 통한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 


오늘은 간단하게 인덕션의 원리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요. 가정제품도 점차 발전해 가고 있다는 것이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.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세요.

반응형